겨울철 난방비가 부쩍 올라서 가계에 부담이 되고 있다. 이번 겨울 조금이라도 아껴보려는 노력을 하며 실내 적정 온도를 맞추고, 방한 용품을 꺼냈다. 잘 몰랐던 정보인데 도시가스를 아끼면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여 알아봤다. 에너지도 절약하고, 캐시백도 받을 수 있으니 좋은 정책인 것 같다.

도시가스 캐시백이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가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 동절기(12~3월)동안 전년도 사용량 대비 3%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이다.
즉, 작년보다 아껴서 3%이상 사용량을 줄이면 현금으로 캐시백 받을 수 있다. 신청하고 알아서 계산해서 캐시백이 되니 일단 신청을 해두자.
절감률에 따른 차등 지급
- 3% 이상 10%미만 절감: ㎥당 50원 지급
- 10% 이상 20%미만 절감: ㎥당 100원 지급
- 20% 이상 30%미만 절감: ㎥당 200원 지급
- 최대 인정 절감률: 30%까지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자격은?
대상 가구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사용자(아파트 단독주택 등)는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지역난방을 이용하고 있다면 아쉽게도 대상자가 아니다. 또한 캐시백 지급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다.
- 전출 • 전입, 명의변경 등으로 인하여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어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전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 주택난방용 이외에 타용도 요금제(산업용, 업무난방용 등) 사용자
- 신청자(회원가입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르나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미제출한 사용자
- 도시가스사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오기입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으로 전환하여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 중 각 세대별 사용량 자료가 없는 경우
- 기타 사유로 절감기간 및 비교기간의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은?
신청기간
2024년 12월 1일 ~ 2025년 3월 31일(4개월)
신청절차
- K-가스캐시백 홈페이지 접속
- 개인(개별난방 사용자) 및 단체(중앙난방) 선택 후 회원가입
- 도시가스사 선택(거주지에 따라)
- 고객식별번호 입력
- 계약자 정보 확인 및 동의서 제출
- 캐시백 지급을 위한 계좌 정보 입력
- 신청자 정보 확인
- 알림 확인(카카오톡 등으로 신청 상태 확인가능)



정리 및 팁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에너지 절감을 위해 난방비 지출이 많은 동절기에만 진행된다. 신청기간이 올해는 3월 31일까지이니 우선 신청을 해두는 것이 좋겠다. 3월에 얼마나 아껴졌을지 모르지만 신청한다고 패널티가 있는 것도 아니니 신청했다. 만약 절감량이 3%이상이라면 7~8월 중에 회원가입 시 입력한 계좌로 입금이 된다고 한다.